[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패션비즈 취재팀 (fashionbiz_report@fashionbiz.co.kr)
25.11.28 ∙ 조회수 1,303
Copy Link

남성복 마켓은 포멀 & 캐릭터 부문에 ‘갤럭시’, 컨템퍼러리에 ‘준지’, 트래디셔널 & 캐주얼에 ‘폴로랄프로렌’, 이머징 부문에서는 ‘포터리’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작년과 순위 변동이 있는 부문은 포멀 & 캐릭터 부문으로 갤럭시가 다시 정상을 꿰차면서 변화를 일으켰다. 이 외에는 2024년과 차이가 없다. 



[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349-Image


남성 포멀 & 캐릭터 부문에서 다시 존재감을 드러낸 삼성물산패션부문의 갤럭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란스미어’ 인조스웨이드 블루종을 입은 것이 화제가 되며 매출이 급상승했다. 현재 갤럭시는 란스미어와 복합매장인 ‘갤럭시라운지’를 운영하면서 갤럭시는 포멀 정장과 비즈니스 캐주얼을, 란스미어는 프리미엄 라인으로 각각 전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갤럭시는 삼성라이온즈 선수들에게 슈트를 협찬하는 등 올해 최고 인기를 누린 ‘야구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신규 유입 확대에 성공했다. 


갤럭시 뒤를 이어 LF의 ‘닥스’가 2위, 송지오인터내셔날의 ‘지오송지오’가 3위에 안착했다. 닥스는 올해 12년 만에 국내 런웨이 패션쇼를 개최하며 브리티시 클래식으로 입지를 굳혔다. 송지오인터내셔널의 지오송지오는 아울렛 매장에서 성장하며 작년의 기세를 이어간 것이 주요했다.


[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1156-Image


컨템퍼러리 부문에서는 삼성물산패션부문의 준지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올해 준지는 유럽 · 미국 · 아시아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 가운데 2007년부터 꾸준하게 파리패션위크에 참가하며 글로벌 패션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준지에 이어 한섬의 ‘타임옴므’가 2위에 올랐다. 지난 11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타임 서울 플래그십스토어를 오픈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프랑스 사마리텐 백화점에서 ‘타임 파리’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이어서 LF의 ‘바버’가 새롭게 3위권 안에 들어왔다. 바버는 2025년 서울재즈페스티벌에 참여해 부스를 운영하는 등 젊은 세대 타깃의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 확장을 시도하면서 저변을 넓히고 있다. 


10위권 내에 아이디룩의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일레븐티’ 또한 뉴페이스로 이름을 올렸다. 올해 한국 첫 익스클루시브 프리뷰 행사를 개최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일레븐티는 주요 백화점에 입점돼 있으며 앞으로도 백화점 매장 확장으로 고객 접점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2064-Image


트래디셔널 캐주얼 부문에서는 랄프로렌코리아의 폴로랄프로렌(이하 폴로)이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폴로는 아메리칸 캐주얼의 대표주자로 뉴트로 열풍과 함께 Z세대 사이에서 조명받고 있다. 백화점뿐 아니라 무신사 등 플랫폼에서도 상위에 오르며 저력을 보여줬다. 


폴로에 이어 동일라코스테의 ‘라코스테’, 삼성물산패션부문의 ‘빈폴멘’이 순위를 이었다. 라코스테는 올해 무신사와 협업하며 사이트 랭킹 상위권을 점령해 긍정적인 판매 반응을 얻었고, 올해 유행한 스포츠 키워드를 타고 다양한 캠페인을 열었다.


[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2646-Image


남성 & 캐주얼 이머징 부문에서는 작년에 이어 포터리의 포터리가 1위를 차지했다. 포터리는 올해 스케일업을 위해 투자금 240억을 유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 상권에 플래그십스토어를 오픈할 계획이다. 


2위에는 포스트아카이브의 ‘포스트아카이브팩션’이 처음 순위권에 들어왔다. 올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새롭게 브랜드의 두 번째 매장을 오픈했다. LVMH프라이즈에서 준결승에 이름을 올리며 많은 화제를 모은 브랜드이며 지난해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에서 전략적 투자를 받기도 했다. 


3위에는 라이어트의 ‘이스트로그’가 이름을 올렸다. 남성복 중심이었던 이스트로그는 우먼 라인 확장과 협업 제품을 통해 소비자층을 넓혀 가고 있다. 올해에만 ‘데상트’ ‘킨’ ‘머렐’ 등 굵직한 브랜드들과 협업을 진행했다.


남성 & 캐주얼 이머징 부문 10위권에 엔에프엔디의 ‘낫포너드’가 처음 이름을 올렸다. 기존 온라인에서 활약한 브랜드였으나, 올해 6월 성수 플래그십스토어에 이어 8월 한남 플래그십스토어를 오픈하며 오프라인 접점을 강화했다. 




<2025 패션비즈 어워즈 : 베스트 오브 베스트>

2025년 패션 마켓을 빛낸 베스트 브랜드는?

[여성복] 마뗑킴 · 타임 · 더로우 · 랄프로렌 왕좌에

[남성복] 갤럭시 · 준지 · 폴로 · 포터리 정상 차지

[캐주얼] ‘마리떼 · 세터’ 굳건, ‘리 · 유니클로’ 약진 

[스포츠] 뉴발란스 & 룰루레몬, 2년 연속 파워풀

[아웃도어] 노스페이스 · 스노우피크 · 살로몬 ‘TOP’

[골프웨어] 지포어 · 말본골프 · 골든베어 정상 지켰다

[유아동복] 밍크뮤 · 뉴발란스키즈 · 마리떼키즈 1위

[핸드백] 분크 3년 연속 · 칼린 해외 팬덤 ↑

[슈즈] 쿠에른 · 르무통 슈즈 강자로 등극

[이너웨어] 캘빈클라인언더웨어 · 감탄브라 질주

[주얼리&인스타일] 골든듀 & 알레르망 초격차로 1위



이 기사는 패션비즈 2025년 12월호에 게재된 내용 입니다.

패션비즈는 매월 패션비즈니스 현장의 다양한 리서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패션비즈 취재팀   fashionbiz_report@fashionbiz.co.kr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Related News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