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이광주 객원기자 (nisus@fashionbiz.co.kr)|22.11.10 ∙ 조회수 2,248
Copy Link
- 섬산련, 소부장 섬유산업 협력단」 성과교류회 개최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이상운)는 11월 3일부터 2일간 대전 라마다 호텔에서 ‘소재부품장비 섬유산업 협력단(이하 ’소부장 섬유산업 협력단‘) 성과교류회‘를 개최하였다.

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159-Image





섬산련은 2020년부터 소부장 섬유산업 협력단의 운영기관을 맡고 있으며, 소관하고 있는 42개 섬유소재부품 R&D 과제의 성과관리와 사업화를 지원해왔다.

이 교류회에서는 섬유소재부품 R&D 수행기관 약 40여명이 참여하여 섬유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반도체 및 건축산업 등에 섬유소재를 적용하는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논의하였다.

최근 친환경 흐름에 맞춰 휴비스에서 그린카용으로 개발 중인 100% 리사이클 PET, 생산기술연구원에서 개발중인 생분해성 PET/PP계 섬유소재 개발 등은 친환경 인증을 획득한 후 사업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603-Image



<생분해성 PET/PP계 섬유소재 개발과정>


반도체 클린룸 공기질 관리용으로 개발 중인 크린앤사이언스의 ePTFE 멤브레인 기반 HEPA 필터, 원풍물산이 자동차 내장재로 개발 중인 중공천연 섬유강화 PP복합재 등은 수요산업과 밀착하여 수행하면서 사업화 가능성과 특허 출원 등 기술적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886-Image



<중공 천연 섬유강화 PP복합재 사업 분야>


섬산련 관계자는 지난 3년간의 소부장 섬유산업 협력단 운영을 통해 쌓인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내년 2단계 사업부터는 자동차, 항공, 전자 등 수요산업과의 최접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섬유소재부품 R&D가 사업화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소재부품 R&D 협력단 : 총괄(20개) 및 세부(42개) 과제 현황

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1218-Image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 보실수 있습니다.
■ 카카오톡에서 패션비즈 채널을 추가하시면 패션비즈가 제공하는 오늘의 주요 뉴스를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섬유소재부품 R&D 성과, 사업화로 기대 1440-Image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