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 판교점에 MZ 특화 전문관 선보인다
현대백화점(회장 정지선)이 오늘(11일) 판교점에 신진 브랜드로 채워진 2030세대 전문관을 선보인다. 더현대서울에서 입증한 MZ세대 맞춤형 큐레이션 전략을 발전시켜, 앞선 트렌드와 다채로운 경험을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는 2030세대 특화 전문관을 오픈했다.
판교점 유플렉스는 총 6950㎡(2100평)규모로, 패션,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총 72개 브랜드로 구성했다. 특히 이중 13개 브랜드는 백화점에 처음 입점하는 브랜드며, 전체 브랜드의 절반 가량인 30여 개는 경기 남부 상권에서 처음 선보인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판교점 유플렉스는 기존 캐주얼 의류와 SPA 등 전통적인 백화점 영캐주얼 상품군 중심으로 꾸미던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MZ세대가 즐겨 찾는 온라인 기반 신진 브랜드와 다양한 유형의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대거 오프라인 매장으로 선보여, 2030세대가 실제 즐기고 머물고 싶은 놀이 공간으로 연출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총 72개 브랜드로 구성, 신진~라이프스타일 중점
새단장한 판교점 유플렉스에서는 독특한 디자인과 콘셉트의 신진 브랜드를 중점적으로 선보인다. 더현대서울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열자마자 연일 구매 대기줄이 이어져 화제가 된 온라인 남성 패션 브랜드 ‘쿠어’ 2호점을 비롯해 온라인 인기 캐릭터인 ‘오롤리데이’의 다양한 패션잡화 제품을 판매하는 ‘해피어마트’가 단독 매장을 연다.
여기에 성수동 유명 빈티지 안경 전문 브랜드 ‘라시트포’ 감각적인 공간 연출과 심플한 의류 및 생활용품으로 성수동 핫 플레이스로 자리매김한 편집매장 ‘모노하’ 등이 백화점 1호 매장을 선보인다. 이밖에 연기‧음악‧IT기술 등 다양한 부문별 톱 아티스트와 유명 전문가가 직접 자신의 노하우와 철학 등을 강연으로 소개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 ‘원더월’이 PB제품과 아티스트 협업 제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보인다.
현대백화점은 판교점 유플렉스 공간 전체를 젊은 고객 층에게 새로운 영감과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도록 휴식·전시·이벤트 특화 공간인 '아이코닉 스퀘어'를 비롯한 주요 공간에 감각적인 조명과 타일 등을 적재적소에 적용했고, 우주선 모형의 매장 등을 꾸미는 등 기존 백화점의 영패션 전문관과 차별화된 공간을 연출했다.
더현대서울서 팝업 통해 사전 검증 작업 완료
판교점 유플렉스에 입점한 72개 브랜드 중 10여개는 더현대서울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백화점 매장을 확대한 브랜드고, 20개 브랜드는 더현대서울에서 선보인 팝업스토어를 통해 발굴된 신진 브랜드다.
이희석 현대백화점 상품본부 영패션팀장은 “더현대서울에 정식 입점해 인기를 끈 브랜드들을 비롯해, 백화점에 정식 입점하진 않았지만 무역센터점 등 주요 점포에서 진행된 팝업스토어를 통해 인기가 검증된 브랜드들을 엄선해 이번 판교점 유플렉스에서 새롭게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판교상권의 영 & 리치 고객층을 공략하기 위해 맞춤형 자동차 키홀더숍, 전기 자전거 및 캠핑 용품 전문 편집매장 등 기존 백화점 매장에서 접하기 힘들었던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대거 선보인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2030 고객 비중 50% 목표, 영 & 리치 공략
앞서 현대백화점은 더현대서울에 이색적인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전문숍을 대거 선보이며 화제가 됐다. 빈티지 중고 명품 시계 전문숍 ‘용정콜렉션’,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유명한 번개장터의 첫 번째 프리미엄 스니커즈 리셀 스토어 ‘브그즈트 랩(BGZT LAB)’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더현대서울의 MZ세대 고객 특화 공간인 ‘크레이티브 그라운드’가 젊은 층 사이에서 명소로 떠오르면서 지난해 이곳의 20~30대 비중은 다른 점포보다 20%p 이상 높은 57%에 달했다.
현대백화점은 판교점이 이번 유플렉스 리뉴얼 오픈으로 지난해 40%대 수준이었던 판교점 20~30대 고객 비중(구매 고객수 기준)이 50% 수준으로 늘어나 더현대서울과 더불어 국내 최고의 MZ세대 특화 쇼핑 놀이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유통 채널은 점점 ‘경험’을 중시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다. 앞으로도 최신 트렌드와 엔터테인먼트 등을 선도적으로 들여와 MZ세대에게 현대백화점에서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점포에 MZ 특화 공간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패션비즈=강지수 기자]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