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면 활용 ‘와디즈’ 간편 펀딩 가능한 지능형 플랫폼으로 진화

와디즈(대표 신혜성)에서 전개하는 라이프디자인 펀딩플랫폼 ‘와디즈’가 AI 기술을 플랫폼 전반에 적용하며 펀딩 프로젝트 개설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누구나 쉽고 빠르게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AI는 메이커의 문의 응대, 심사, 번역을 자동화하며 복잡했던 절차를 단축하고 크라우드펀딩의 진입장벽을 크게 낮췄다.
현재 와디즈는 △메이커 문의 해결 △스토리 심사 자동화 △다국어 번역 등 세 가지 핵심 영역에서 AI 기술을 적용해 메이커가 간편하게 펀딩을 준비할 수 있는 지능형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난 7월 도입한 AI 상담 에이전트 ‘와이(Wai)’는 메이커 문의에 평균 84% 이상의 정확도로 답변해 프로젝트 운영 관련 가이드를 자동 제공함으로써 상담 응대 효율을 크게 개선했다.
와이는 문의 응대뿐만 아니라 향후 스토리 생성 및 데이터 분석 영역으로 기능을 확대한다. 펀딩 성공 프로젝트를 분석한 AI가 상세 페이지를 서식화해 메이커가 제품 이미지를 올리면 자동으로 스토리를 작성해 주는 ‘스토리 에이전트’와 펀딩 및 결제 현황·접속 사용자 유입 경로 등을 분석해 제공하는 ‘데이터 에이전트’ 기능을 연내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도입한 ‘AI 심사’는 프로젝트 내 문구를 광고 심의 기준과 정책에 맞춰 자동 점검해 오해 소지가 있는 표현을 사전에 걸러낸다. 메이커는 펀딩 오픈 전 최대 5회까지 AI 심사를 요청할 수 있으며 결과는 스토리 분량에 따라 약 15분 내로 확인할 수 있다.
도입 1년 만에 전체 메이커의 82%가 AI 심사를 활용했고 메이커 당 평균 사용 횟수는 4.4회에 달했다. 이를 통해 심사 소요 기간은 4일에서 단 하루로 단축돼 프로젝트 준비 단계에서의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AI는 펀딩의 언어 장벽까지 낮췄다. 와디즈의 AI 번역 기능을 통해 한국 메이커는 해외 서포터에게, 해외 메이커는 한국 서포터에게 프로젝트 내용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 프로젝트 제목과 내용 등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내 텍스트까지 고품질로 번역을 지원한다. 이로써 메이커는 별도의 번역 작업 없이 국문·영문·중문 등 다양한 언어로 자동 번역된 프로젝트를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어 중국·유럽·일본 등 해외 메이커의 참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와디즈 관계자는 “AI 기술을 통해 펀딩 과정이 한층 쉽고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며 “누구나 간편하게 펀딩에 도전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플랫폼 고도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jpg&w=1080&q=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