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News
교복 원단 ‘출처 불투명성’ 공개 제도 보완 필요
패션비즈 취재팀 (fashionbiz_report@fashionbiz.co.kr)|25.10.21
Copy Link
국내에서 생산된 일부 섬유제품에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부여하는 국산 섬유제품 인증마크(KTC 인증)가 있으며 특히 입찰로 진행되는 교복 의류에는 제출서류에 인증 유무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낙찰 업체를 선정한다.
해당 마크는 제품에 사용된 원단이 국산임을 증명하는 표시로, 일정한 심사와 검증 과정을 거쳐야만 받을 수 있다. 인증을 위해서는 국산 원단 사용 여부를 입증하는 서류와 함께 제품 검사를 통과해야 하며, 이를 충족한 경우에만 해당 마크를 부착할 수 있다.
문제는 교복과 같은 특수 의류의 경우, 이 인증 제도가 소비자 눈높이에서 충분히 기능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현행 제도상 ‘수입산 소재로 국내에서 봉제하거나 국내산 소재로 해외에서 봉제하는 기업은 인증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규정돼 있지만, 실제로 학교나 학부모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봉제한 지역으로 한정돼 있다. 다시 말해 원단이 국내산인지 해외산인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셈이다.
교복은 학생들이 매일 착용하는 제품이자 학부모가 매년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필수품이다. 원단의 품질과 안전성은 선택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지만 현재 제도 아래에서는 원단 출처가 다소 불투명하게 인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원단 출처 공개를 제도적으로 보완한다면 교복 산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ESG 경영 기조가 확산되는 만큼 원단과 봉제 전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력 시스템 마련이 향후 과제로 꼽힌다.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