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조원섭 l 브랜드워커파트너스 공동대표 팀으로 움직이는 세상 팀코칭의 힘
오늘날 기업의 성과는 개인의 역량보다 팀의 협력과 실행 속도에 달려 있다. 특히 패션기업처럼 프로젝트 단위로 움직이는 조직에서는 디자인, 마케팅, 생산이 따로 잘하는 것만으로는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팀 전체가 하나의 호흡으로 움직일 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영국의 팀 코칭 권위자 피터 호킨스는 팀을 단순한 성과 단위가 아닌 ‘학습과 성장을 통해 미래를 창조하는 유기체’로 정의한다. 그는 질문한다.
“이 팀은 단순히 목표를 달성하는 집단인가, 아니면 미래를 준비하는 유기체인가?”
호킨스는 이를 위해 ‘Systemic Team Coaching’
의 다섯 가지 프레임을 제시한다.
• Commissioning : 팀의 존재 이유와 미션을 명확히 한다.
• Clarifying : 역할과 목표, 성공 기준을 분명히 한다.
• Co-creating : 신뢰와 협업 구조를 구축한다.
• Connecting : 고객과 파트너 등 외부 이해관계자와 연결한다.
• Core learning : 학습과 성찰을 통해 성장한다.
위의 다섯 가지 프레임은 팀이 성공하고 성장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다.
먼저 첫 번째는 팀의 존재 이유와 미션이 명확해야 한다. 이를 위해 팀의 리더와 구성원 전체가 한 방향을 바라보며, 몰입해야 한다. 두 번째는 각자의 역할과 목표, 팀의 성공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명확한 성공 기준과 개인별 역할 및 목표가 있을 때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세 번째는 팀 내 신뢰와 협업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 혼자서 낼 수 있는 성과는 거의 없다. 결국은 신뢰에 기반한 협업만이 고성과를 내는 유일한 방법이다.
네 번째는 고객과 파트너 등 외부 이해관계자와 연결돼야 한다. 조직의 내부는 비용의 영역이다. 조직이 만드는 가치는 외부에서 일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연결은 직접적인 성과와 가치로 이어진다. 다섯 번째는 팀의 비즈니스 여정을 통해 학습과 성찰이 일어나서 팀의 성장이 이뤄져야 한다. 팀은 언제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한다. 성공과 실패 두 가지 경험에서 일어나는 학습만이 팀의 성장을 만드는 자원이다.
이 과정에서 팀 코치는 단순한 조언자가 아니다. 팀의 현재 모습을 비춰주는 거울, 변화를 촉발하는 촉매다. 이를 통해 팀은 자신들의 행동 패턴을 인식하고 더 효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한국 조직은 성과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요인이 있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팀 내 신뢰, 외부 연결, 학습의 습관이 쌓일 때 팀은 단순한 성과를 넘어 지속가능한 혁신을 만들어내는 집단으로 발전한다.
성장하는 팀을 위한 5가지 질문
• 팀의 미션과 존재 이유를 다시 확인하고 있는가.
• 팀 내 역할과 목표가 명확히 공유돼 있는가.
• 갈등을 회피하지 않고, 협업 방식과 신뢰 구축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가.
•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있는가.
• 회고와 학습의 시간을 팀 운영의 일상에 포함하고 있는가.
이 기사는 패션비즈 2025년 10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패션비즈는 매월 패션비즈니스 현장의 다양한 리서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