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 '부티크->빈티지'로 리뉴얼... 지난해 성과 살펴보니
크림 중고 명품 거래 서비스 '빈지티'
네이버의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대표 김창욱)이 기존 중고 명품 거래 서비스 ‘부티크(Boutique)’ 서비스를 ‘빈티지(Vintage)’로 개편하고, 지난 1년간의 성과를 공개했다.
크림이 지난해 8월 처음 선보인 중고 명품 거래 서비스는 론칭 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달 1일부터 13일까지의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8% 증가했다. 보존 가치가 높은 하이엔드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규 상품(SKU) 건수는 매월 2배씩 증가하고 있다.
론칭 후 1년간의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이용자의 71%가 2030세대였으며 이 중 30대 남성(49%), 30대 여성(39%), 20대 여성(20%) 순으로 거래가 많았다. 브랜드별 거래량은 '샤넬'이 1위를 기록했고, '에르메스' '루이비통' '디올' '구찌'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크림 중고 명품 서비스의 빠른 성장 요인으로는 ▲하이엔드 브랜드 가격 경쟁력 ▲희소성 높은 빈티지 상품 라인업 ▲시크를 운영하는 자회사 팹(PAP)의 철저한 검수 시스템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먼저 중고 명품의 가격 경쟁력이 서비스의 높은 성장세를 이끌었다. 샤넬·에르메스·디올 등 하이엔드 브랜드의 스테디셀러 제품을 새 상품 대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샤넬 코코핸들 플랩백'은 크림 내 새 상품 가격보다 43% 저렴한 가격에 구매 가능하며, 인기 제품인 '프라다 사피아노' '에르메스 에르백' 등은 상품 등록 하루 만에 재고가 소진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보였다.
이와 함께 경매에 출품되는 리차드 밀 시계, 샤넬 한정판 미니백 컬렉션, 일본 유명 빈티지 매장에서만 만나 볼 수 있는 목걸이, 브로치 등의 희귀 아이템도 주목받았다. 특히 크림 빈티지에 등록된 모든 상품은 시크를 운영하는 크림 자회사 팹 소속의 10년 이상 명품 검수 경력을 지닌 전문가가 진위와 상태를 철저히 확인해 신뢰도를 높였다.
중고 탭 신설·2030 타깃 명품 라인업 확장
크림은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기존 부티크 서비스를 빈티지로 개편해 중고 명품 거래 서비스를 본격 확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로고를 새롭게 선보이고 ‘중고’ 탭을 신설해 이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여, 소비자가 빈티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브랜드 라인업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샤넬·에르메스 등 하이엔드 브랜드뿐 아니라 '셀린느' '프라다' '발렌시아가'와 같은 접근성 높은 2030세대 인기 브랜드 상품을 늘리고, 중고 거래가 중심이 되는 시계 카테고리에는 '롤렉스'와 같은 프리미엄 라인을 추가한다.
크림은 중고 명품 거래 서비스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시스템을 지속 고도화 중이다. 향후 원클릭으로 간편하게 중고 명품 판매·구매가 가능한 개인 간 거래(P2P)로 영역을 넓힌다. 크림에서 구매한 제품을 다시 판매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사용자 편의성과 거래 활성화를 동시에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하반기에는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보고 구매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을 새롭게 열어 구매 경험을 극대화한다.
크림 관계자는 “다양한 상품 라인업과 철저한 검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크림 내 중고 명품 거래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라며 “이번 서비스 개편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향후 시장을 이끄는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밀했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