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반 패션 공급망 혁신은?”... 코닛디지털x디토 29일 포럼
안성희 기자 (song@fashionbiz.co.kr)|25.04.11 ∙ 조회수 1,292
Copy Link
글로벌 디지털 프린터 기업 코닛디지털
글로벌 기업 코닛디지털과 디토앤디토가 오는 29일 오후 2시 '디지털 기반의 패션 공급망 혁신'을 주제로 두번째 SFF(스마트패션포럼)를 서울 대치동 섬유센터 2층 텍스파 라운지에서 개최한다.
최근 트럼프發 관세 전쟁이 시작되면서 미국 내 패션기업과 수출 제조기업들에게 공급망 재편이 뜨거운 감자로 부각됐다. 수출기업과 달리 직접적인 타격은 아니지만, 국내 내수 패션기업들도 공급망 재편도 불가피하게 됐다. 지금까지 국내 패션기업들은 저렴한 가격을 쫓아 중국과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해 왔고, 상대적으로 국내는 제조 공동화(空洞化)로 이어졌다.
그러나 팬데믹 전후로 이커머스 채널로 마켓의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자기만의 정체성이 명확한 스트리트 캐주얼과 디자이너 브랜드가 국내외 마켓의 주류로 부상하면서 공급망에 대한 근본적인 패러다임에 변화가 시작됐다.
무엇보다 저가 생산을 통한 대량생산이 아닌 판매 반응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니어쇼어링(Near-Shoring)에 이어 온쇼어링(On-Shoring)이 선호됐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찾기 위한 고심이 시작됐다. 즉 웹 기반의 고도로 개인화된 이커머스 시대에는 민첩성, 속도, 반응성을 수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온디맨드 풀필먼트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디지털 테크 기반의 반응형 생산 인프라 구축
최근 기업들의 우선적 선택은 디지털 테크 기반의 반응형 생산 인프라 구축이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제조 인력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DTP와 같은 스마트 장비를 통해 소수 인력을 통해 다품종 소량 반응생산을 실현해야 한다. 정확한 수요 예측으로 적정 수량을 적기에 생산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AI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 최근 글로벌 마켓에서도 유명한 스트리트 캐주얼 ‘아크메드라비(ADLV)’는 서울 장안동에 위치한 DTG 전문기업 티잉크와 제휴해 실시간으로 반응생산 시스템을 구축했고, 메이저 패션기업 E그룹, 여성복 E社, 중견 캐주얼 기업 H社도 복수의 DTP 전문기업과 협력 시스템 구축을 협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디토앤디토는 이러한 패션 공급망 전환 흐름을 반영해 오는 29일 섬유센터에서 '패션산업 공급망 혁신을 위한 디지털 프린팅 컨퍼런스'를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No.1 디지털 프린터 기업 코닛디지털과 공동으로 진행한다.
글로벌 공급망 혁신에 대한 인사이트 공유
첫 번째 기조강연은 Tomer Artzi 코닛디지털 아시아태평양 대표가 ‘디지털 전환의 글로벌 & 아태지역 트렌드’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 이현주 미닝시프트 대표가 ‘반응형 생산으로 재고 리스크 최소화 & 친환경 제조혁신’을 주제로 패션기업과 B2C 플랫폼 시각에서 공급망 혁신에 대해 강연한다.
세 번째는 이탈리아 출신의 Andrea Negretti 코닛디지털 아시아태평양 총괄 매니저가 ‘글로벌 패션기업의 DTP 기반 공급망 혁신 성공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장에서는 최신 DTP 장비로 인쇄한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전 신청자에 한해 원하는 디자인을 티셔츠에 인쇄해서 선물로 증정하는 이벤트도 준비돼 있다. 이번 행사는 사전 신청자에 한해 참석이 가능하고, 50명 한정으로 진행된다.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