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선원규 l 썬더그린 대표 '트럼프 시대 관세 전쟁과 패션 사업 전략'

패션비즈 취재팀 (fashionbiz_report@fashionbiz.co.kr)|25.04.04 ∙ 조회수 825
Copy Link

[칼럼] 선원규 l 썬더그린 대표 '트럼프 시대 관세 전쟁과 패션 사업 전략' 27-Image


지난 1월 20일 트럼프가 집권한 지 50여 일이 지난 지금 트럼프 시대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취임하자마자 쏟아내고 있는 트럼프 정부의 각종 조치들은 앞으로 미국이 그려 나가고 싶은 세계질서의 단면을 잘 보여 준다. 그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의 경찰국가로서 역할을 자임했던 미국의 행동에 변화를 주겠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세계 경찰국가의 역할을 하기 위해 미국이 막대한 경제적인 짐을 졌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 미국 국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앞으로 미국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선언했다.


대표적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 세계 각국에 파병돼 있는 미군 유지비용 감축, 불필요한 전쟁 개입 축소를 통해 국방비를 대폭 줄이는 방안, 행정부 내부의 비효율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방안, 불공정 무역 관행 개선을 통한 무역수지 개선 방안, 첨단기술산업 보호 방안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정책들이 시행된다면 세계는 당분간 불확실성이 심화될 것이다. 특별히 이웃 국가인 멕시코와 캐나다부터 관세를 부과한 관세 전쟁은 대(對) 중국 정책이 아니라 우방국을 망라한 전방위적인 정책이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특별히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는 패션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커서 국가별 관세 협상 내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패션 사업에 미칠 영향은 무엇이고 이에 대한 대안은 무엇인가?

1. 관세 전쟁으로 원부자재 및 완제품 수입 원가가 높아져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물가인상에 따른 수요 위축과 소비 감소가 이어질 것이다.


2.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국가별 공급망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고, 그 과정에서 납기 및 품질 관련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3. 관세를 피하기 위해 국내 생산이나 역내 무역협정을 통한 역내 생산 등 다양한 관세 회피 수단들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생산을 위한 생산성 제고 기술이 주목받을 것이다.


4. 명품 시장의 위축과 초저가 시장의 성장, 친환경 소재 시장, 재고 시장 등 2차 판매 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


5. 관세를 회피할 수 있는 글로벌 온라인 직구 시장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


6. 관세 전쟁은 환율을 변화시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환율 시장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수출 기반 산업으로 성장한 나라이기 때문에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력이 매우 클 것이다. 그만큼 기민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다만 주어진 불확실한 환경은 누구에게나 동일하다.

승리는 기민하게 대응해 기회를 잡는 기업에 돌아갈 것이다.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


이 기사는 패션비즈 2025년 4월호에 게재된 내용 입니다.

패션비즈는 매월 패션비즈니스 현장의 다양한 리서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Related News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