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크림, 판매자 혜택 강화로 뷰티 거래액 '66% 성장'
사진=크림
네이버의 거래 플랫폼 크림(대표 김창욱)이 플랫폼 내 뷰티 카테고리가 더욱 활성화되며 2025년 1~2월 거래액이 전년대비 66% 증가했다고 밝혔다.
크림은 2022년 3분기 뷰티 카테고리에서 개인 간 거래(C2C) 서비스를 도입하며 프리미엄 향수 및 일부 코스메틱 브랜드 제품의 거래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어 2023년 하반기에 전 카테고리에서 사업자 회원에게 거래를 개방하면서 뷰티 제품을 취급하는 사업자도 크림을 통해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뷰티 카테고리의 성장세가 가속화됐으며, 사업자와 개인 판매자 모두에게 폭넓은 거래를 제공하며 만족을 이끌어 냈다. 크림에 따르면 지난 1~2월(2개월) 크림의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을 분석해 본 결과 전년동기대비 66%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특히 보관 판매 서비스를 통한 거래액은 전년동기대비 37배 이상(3630%) 증가한 수치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플랫폼 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눈에 띄는 성과는 낸 데는 크림의 차별화된 뷰티 카테고리 내 판매자 정책과 적극적인 인프라 지원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크림은 현재 뷰티 카테고리 제품에 한해 전체 보관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고, 판매자에게는 최저 수준의 판매자 수수료 혜택을 적용하고 있다.
타 카테고리와 달리 뷰티 카테고리에서는 모든 제품을 100% 창고 보관을 통한 판매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이 정책은 판매자들의 재고 부담을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해 뷰티 사업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으며 크림만의 차별화된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뷰티 카테고리 판매자는 등급과 상관없이 모두 3.5%의 최저 등급 수수료와 기본 수수료 무료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운영 부담을 대폭 줄인 것 또한 크림의 성과로 이어졌다.
한편 크림은 트렌드 변화에 민감하고 희소성 있는 제품에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2030세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함께 성장해 왔다. 특히, 패션을 넘어 티켓, 테크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 영역에서도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한 상품으로 소비자들이 크림에 몰리며 새로운 서비스와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크림 관계자는 "뷰티 카테고리 확장을 통해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티켓 및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정판 거래를 넘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하고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