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칭 사이트' 등장, 데상트코리아 소비자 주의 당부
데상트코리아 사칭 사이트 이미지
최근 '코오롱스포츠' 사칭 사이트에 이어 글로벌 스포츠 기업 데상트코리아(대표 시미즈 모토나리)의 사칭 사이트가 등장했다.
데상트코리아는 최근 회사 소개나 모델 이미지는 물론 소속 브랜드의 명칭, 로고, 상품 소개 등을 무단 도용한 유사 온라인 쇼핑몰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회사 측은 소비자들에게 결제(특히 해외 결제)를 유도하거나 금원을 편취하는 등 피싱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데상트코리아는 일부 사칭 사이트는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한 디자인을 사용해 소비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으며, 결제 과정에서 개인정보 및 결제한 금원을 편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러 온라인 광고를 통해 높은 할인율을 내세우며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
소비자들은 상품 구매 전 반드시 데상트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주소를 확인하고, 신뢰할 수 없는 온라인몰을 통한 구매를 자제해야 한다. 무엇보다 공식 채널을 제외한 사이트에서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이를 경계하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즉시 신고 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상트코리아 관계자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을 강화하고 있으며, 공식 홈페이지 및 인증된 판매 채널을 통해 안전하게 제품을 구매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또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 사례가 발생한 경우, 카드사 고객센터 또는 경찰청(112)에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또 고객 보호를 위한 보안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사칭 사이트 탐지 및 차단을 위한 법적 대응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 '코치'와 '디스커버리', 코오롱몰 사칭 사이트 등을 시작으로 '칼하트' '스투시' 등 최근 패션 공식몰을 사칭하는 피싱 사이트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 사칭 사이트에서 카드 결제로 상품을 구매한 후 배송이 오지 않고, 취소도 할 수 없어 공식몰에 문의하는 경우가 늘면서 발견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피싱 사이트들이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고, 공식몰의 컨텐츠를 그대로 카피해 운영하다 발견되면 그대로 도메인만 바꿔 지속적으로 사기 행각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서버 이동이 잦아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나 방송통신위원회(심의위원회) 등에서도 현실적인 제재나 피해 발생 전 사전 차단은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사이트의 주소를 꼭 확인하고, 너무 과한 할인가는 의심해보는 등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