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이광주 객원기자 (nisus@fashionbiz.co.kr)|23.06.23 ∙ 조회수 2,607
Copy Link
- 지속가능한 소재에 대한 온디맨드(On-demand) 소싱의 장에 진성 바이어 집결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66-Image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이상운, 이하 섬산련 www.kofoti.or.kr)가 지난 6월 21일(수)에 섬유센터 3층에서 개최한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셀렉션(이하, 신소재셀렉션)」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글로벌 시장 수요 정보를 바탕으로 소재기업과 바이어가 신제품 개발을 위해 협업하는 신소재셀렉션은 영원무역, 세아상역, 한솔섬유, 삼성물산, 신성통상, 무신사트레이딩 등 국내 대형 벤더 및 패션기업에서 600여명의 바이어들이 방문해 소재기업과 자유롭게 교류하며 행사기간 내내 북적여 엔데믹을 실감케 했다.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470-Image





특히, 금번 행사는 바이어들이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외에 다양한 복종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재 셀렉션이 마련되길 바란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니트류 및 워크웨어용 소재와 산업용소재, 합성피혁 및 인조 퍼 등으로 전시 아이템을 다양화하여 바이어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신소재 동향 세미나와 트렌드관, 미니 상담관으로 구성된 이번 행사는 섬유패션산업에서 대두되는 지속가능성을 테마로 하여 친환경 종이 부스로 공간을 구성했고, 트렌드관에는 친환경 소재를 탄소 저감, 생분해성, 무독성, 오가닉 등의 키워드로 분류하여 바이어들이 소재를 셀렉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886-Image





참가사는 총 31개사로 원사(6개사), 기능성 소재(10개사), 산업용 소재(3개사)감성 소재(8개사), 레더/퍼(3개사), 소싱 플랫폼(1개사)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친환경 인증을 받은 리사이클·업사이클 소재가 주를 이루었다.
ㅇ 패션기업 A사의 바이어는 “친환경 컨셉의 브랜드를 준비하고 있는데 다양한 카테고리의 지속가능한 소재를 볼 수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소재기업과 바이어간의 밀착 교류에 초점을 맞춘 이번 행사는 참가 바이어 대상으로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그 결과를 참가기업에게 공유하여 “셀렉션”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온디맨드(On-demand) 소싱으로 차별화되었다.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1336-Image





참가기업 B사는 “수많은 국내외 섬유 전시회에 참가해왔지만 사전에 우리 제품에 관심 있는 바이어 리스트와 바이어들이 찾고 있는 세부 아이템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는 처음이다. 소재기업 입장에서 매우 유용하고 반가운 정보였고, 전시할 제품을 선별하고 상담을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신소재 행사에 꾸준히 참여한 소재기업 C사는 “역대 신소재 전시회 중 가장 기획과 구성이 좋았다. 쉴 시간도 없이 상담이 진행되었고, 앞으로도 국내 대표 소재기업들이 핵심제품을 선보일 수 있는 작지만 알찬 전시회로 더욱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1754-Image





또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줌 세미나는 각각 약 3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집중도 있게 진행되었다. 오전에는 미국 더 레비 그룹에서 여성복을 담당하는 도하영 디자인 디렉터가 내년도 F/W 시즌 주요 소재에 대해 소개했고, 오후에는 이태리 프라다 그룹 본사에서 남성복을 담당하는 윤희선 리테일 머천다이징 매니저가 유럽 럭셔리 마켓 동향 및 패브릭 트렌드에 대해 발표했다.

벤더기업 D사의 바이어는 “세미나와 신제품 전시가 한 공간에서 운영되어 소재 트렌드 정보를 들으면서 그에 맞는 새로운 제품들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볼 수 있어 더욱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2183-Image





지속가능한 소재 안에서도 바이어들은 리사이클 폴리/나일론, 바이오 스판덱스 및 냉감 기능성 소재, 수피마 소재와 비건 레더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섬산련 관계자는 “상반기 교류회를 통해 바이어들의 반응이 좋았던 아이템과 우수한 상담실적을 기록한 소재기업을 10월중 개최 예정인 ‘신소재컬렉션’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라고 밝히면서 “바이어의 수요를 더욱 면밀히 분석하여 준비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고 덧붙였다.

■ 문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정책기획실(02-528-4013/15, jhk@kofoti.or.kr)

2023 신소재 동향 교류회; 신소재 셀렉션’ 성료 2597-Image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