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패션비즈 취재팀 (fashionbiz_report@fashionbiz.co.kr)|23.02.01 ∙ 조회수 16,468
Copy Link
예일 ~ 말본, 195개 인기 라이선스 주목...미국 80개 · 프랑스 40개 · 한국 6개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96-Image





인지도 높고 파워풀한 브랜드 자체가 경쟁력인 요즘 라이선스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글로벌 인지도를 가진 라이선스 대표 브랜드들은 패션의류 뿐 아니라 슈즈 및 가방 같은 잡화와 액세서리, 라이프스타일, 리빙 등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와 함께 브랜드 영향력을 더욱 키워가고 있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354-Image





현재 국내 패션마켓 주요 복종에서 활약 중인 라이선스 브랜드는 약 195개다. 과거 ‘닥스’ ‘레노마’ ‘엘르’ ‘피에르가르뎅’ 등 유럽 브랜드의 고급스러움을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최근에는 역동적이고 이색적인 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586-Image




누가 더 기발한 히스토리를 가진 브랜드를 패션으로 풀어내는가? 요즘 패션시장 라이선스 붐을 들여다보면 인지도가 강력한 비(非)패션 브랜드를 잘 어울리는 복종의 패션으로 론칭하는 것이 국룰(國rule;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규칙이란 뜻의 신조어)처럼 자리 잡았다.

‘MLB’에서 시작한 스포츠 리그나 협회 라이선스는 ‘NBA’와 ‘NFL’ ‘PGA & LPGA’를 넘어 ‘UFC’ ‘FIFA’까지 확산됐고 ‘디스커버리익스페디션’으로 발발한 다큐멘터리 채널 라이선스는 ‘내셔널지오그래픽’ ‘CNN’ ‘BBC’로 번졌다. ‘엘르’ 등 매거진 DNA는 ‘라이프아카이브’가 잇고 있고, ‘코닥’ ‘폴라로이드’ 등 필름 브랜드부터 항공사 ‘팬암’, 자전거 브랜드 ‘브롬톤’, ‘예일’ ‘UCLA’ 등 명문대 이름을 활용한 브랜드까지 그 영역도 다양하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 보실수 있습니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1125-Image





현재 국내 패션마켓 주요 복종에서 활약 중인 라이선스 브랜드는 약 195개다. 이 외에 넥타이 · 스카프 · 장갑 · 양말 · 스타킹 · 우산 등 액세서리 부문까지 더하면 300여 개에 달한다. 과거 ‘닥스’ ‘레노마’ ‘엘르’ ‘피에르가르뎅’ 등 유럽 브랜드의 고급스러움을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최근에는 역동적이고 이색적인 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1428-Image





다큐채널부터 항공사까지 비(非)패션 선호

고급스러움과 감도를 중시하는 여성복과 남성복 시장은 유럽, 특히 프랑스 브랜드 선호도가 여전히 높다. 주요 라이선스 여성복 브랜드 13개 중 프랑스 브랜드가 7개로 54%에 달하는 비중이고, 남성 라이선스 브랜드 중에서는 프랑스 브랜드가 35.3%나 된다.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로 보면 여성복과 남성복 각각 76.9%, 70.6%에 달한다.

트렌디하고 역동적인 무드를 중시하는 캐주얼, 아웃도어, 스포츠 브랜드 시장은 미국 브랜드가 우세하다. 캐주얼은 현재 전개 중인 라이선스 브랜드 34개 중 27개, 79.4%를 미국에서 가져왔다. 아웃도어는 14개 중 7개(50%), 스포츠는 25개 중 9개(36%)가 미국 브랜드다. 캐주얼, 아웃도어, 스포츠 브랜드의 미니미 브랜드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아동복 시장 역시 22개 중 10개(47.6%)가 미국 브랜드다.

특히 최근 캐주얼 마켓은 ‘코닥어패럴’ ‘팬암’ ‘예일’ 등 비패션 브랜드들의 패션화 경향이 강하다. 원래 브랜드가 갖고 있는 이미지와 인지도를 그대로 가져와 친근함을 주면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트렌디한 아이템을 적용해 쉴 틈없이 변화하는 마켓에 빠르게 대응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2207-Image





골프웨어, 일본 · 프랑스 → 미국 트렌드 이동

디스커버리익스페디션을 필두로 ‘등산’에서 ‘모험’이라는 넓은 범위로 영역을 넓힌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탐험이라는 타이틀에 가장 잘 어울리는 다큐멘터리 및 뉴스 채널 라이선스가 늘어났다. 내셔널지오그래픽어패럴과 CNN어패럴, BBC얼스가 그것이다. 또 최근에는 ‘스노우피크’ ‘노르디스크’ 등 캠핑 브랜드의 어패럴 부문 라이선스를 얻어 전개하는 형태도 눈에 띈다.

퍼포먼스와 스타일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골프웨어 브랜드의 경우 일본 브랜드의 비중도 눈에 띄게 높다. 전체 35개 골프웨어 브랜드 중 일본 브랜드는 8개로 23% 비중을 차지하는데, ‘파리게이츠’ 등 전통 강호 브랜드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지난 몇 년 간 ‘타이틀리스트’ ‘PXG’ 등 퍼포먼스를 중시하는 브랜드에 이어 ‘지포어’ ‘말본’ 등 핫 브랜드까지 미국 브랜드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현재는 미국 브랜드가 13개(37.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 라이선스 비즈니스가 가장 활발한 복종 중 하나였던 가방 시장은 최근 중가 디자이너 브랜드와 온라인 브랜드들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라이선스 브랜드의 등장이 주춤한 상태다. 이너웨어는 코웰패션의 주도하에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들의 이너웨어를 홈쇼핑 마켓 위주로 활성화돼 있다.


마르디 · 커버낫 등 국내 브랜드 라이선스도 인기

이색적으로 최근 한국 브랜드들의 라이선스 비즈니스가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여성복 브랜드 ‘마르디메크르디’와 캐주얼 ‘커버낫’, 아웃도어 ‘아웃도어프로덕츠’를 들 수 있다. 마르디메크르디는 독보적인 플라워 그래픽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앞세워 자체적으로 스포츠와 리빙 등 카테고리를 넓히고 있는데 최근 신발(에이유커머스)과 펫 컬렉션(비엔비엔) 부문에 대한 서브 라이선스를 제공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커버낫과 아웃도어프로덕츠는 차일디라는 아동복 플랫폼기업에 아동복 부문 라이선스를 주고 키즈웨어 분야로 발을 넓혔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 보실수 있습니다.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3421-Image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3510-Image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3599-Image






[ 해당 라이선스 브랜드 바로가기 ]

■ 예일 ~ 말본, 195개 인기 라이선스 주목...미국 80개 · 프랑스 40개 · 한국 6개
■ 엘르
■ 기라로쉬
■ 리센시아
■ 에어워크
■ LA 기어
■ 로베르타디까메리노
■ 엑소엑소(XOXO)
■ 엘레강스파리(Elégance Paris)





이 기사는 패션비즈 2023년 2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패션비즈를 정기구독 하시면
매월 다양한 패션비즈니스 현장 정보와, 패션비즈의 지난 과월호를 PDF파일로 다운로드받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패션비즈 정기구독 Mobile버전 보기
■ 패션비즈 정기구독 PC버전 보기

[Book in Book] FASHION LICENSE BRANDS 4879-Image





■ 패션 구인구직 전문 정보는 패션스카우트(www.fashionscout.co.kr) , Click! !!!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