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하 l 전 신세계사이먼 대표
불행하지 않은 때는 다 행복한 거다
작년 연말부터 우리의 정치 현실을 감안하면서 뉴스보다는 오락 예능 프로그램을 챙겨 보면서 한 번이라도 더 웃고, 세상의 변화를 받아들이면서 재미있게 살기로 했다.
최근 어느 글에서 읽었던, 92세 할머니가 말한 “살면서 가장 후회했던 것이 마지막에 웃는 놈이 좋은 인생인 줄 알았는데, 자주 웃는 놈이 좋은 인생이었어” 라는 글을 읽고 더욱 확신이 섰다.
JTBC의 ‘뜨거운 싱어즈’에서 남자 출연자들만 모여 중창 무대를 만들기로 하고, 선택 곡인 조용필의 ‘바람의 노래’를 듣고 젊은 날의 사진을 보면서 그때의 자신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이 있었다. 그중 배우 최대철의 편지가 인상적이었다. 20대 후반에 아내와 찍은 사진을 보고 철없던 시절을 회상하면서 그가 말했다.
배우의 꿈을 꾸며 가정을 돌보지 않고 극단에 다닐 때,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아내는 늦은 시간에도 그를 맞이하면서 꼭 “수고하셨어요”라는 인사를 잊지 않았다고 했다. 어느 늦은 밤, 밖에서 시간을 보내고 온 최대철은 아내의 수고했다는 인사말을 듣고 난 후 크게 뉘우쳤다고 했다. 거짓말과 약속을 지키지 않는 쓰레기 같은 자신을 소각장이 아닌 재활용하게 만든 아내에게 고마움을 표현해 훈훈한 감동을 줬다.
그의 얘기를 듣고 난 후 문득 아내를 바라보며 스스로를 돌아봤다. 격동의 1980년대 중반에 대학을 졸업한 후 막연히 외형 매출이 한국에서 최고인 그룹에 입사하고, 결혼하고, 생활인이 됐다. 몇 년 전세살이 후 한참 신도시로 개발
되던 서울 외곽에 10평 후반대의 내 집을 마련하고 살았다.
직장생활은 어떤 꿈을 이루겠다는 생각보다는 생계를 위한 것일 뿐이었다. 회사 생활은 생각보다 힘들었고 다른 업종으로의 전직과 누구의 지시도 받지 않는 카페나 서점 같은 자영업을 곁눈질하곤 했다. 회사에서 받은 스트레스로
날카로울 때는 별일도 아닌 것으로 독박 육아와 가사노동에 지친 아내와 싸우기도 했다.
그렇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중 또다시 아내와 부부싸움을 하고 며칠 후 먼저 화해를 청한 아내가 대화 끝에 말했다. “여보, 당신이 밖에서 경쟁하고 이겨야 할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당신 하나 믿고 결혼해서 이 변두리 좁은 아파트에서 육아 때문에 지친 나 하나를 이겨서 뭐 하려고 그래요?” 상처 없는 영혼이 어디 있겠는가, 모든 것은 금이 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빛은 거기로 들어온다. ‘바람의 노래’처럼 그 누구라도 실패와 고뇌의 시간을 비켜 갈 수는 없다. 담보할 수 없는 내일의 행복을 위해 오늘을 망치지 말고 매일매일을 닥치는 대로 행복하게 살아갈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작은 일에도 기뻐하고, 지금 누릴 수 있는 행복에 감사하면서 사는 게 최고의 삶이다.
■ profile
• 1987년 삼성그룹 공채 입사
• 1996년 신세계인터내셔날 입사
• 2005년 해외사업부 상무
• 2010년 국내 패션본부 본부장
• 2012년 신세계톰보이 대표이사 겸직
• 2016년 신세계사이먼 대표이사
• 2020년 브런치 작가 활동 중
이 기사는 패션비즈 2022년 6월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패션비즈를 정기구독 하시면
매월 다양한 패션비즈니스 현장 정보와, 패션비즈의 지난 과월호를 PDF파일로 다운로드받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패션비즈 정기구독 Mobile버전 보기
■ 패션비즈 정기구독 PC버전 보기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