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주얼 Key는 ‘여성’과 ‘Sexy’?
「GGPX」 「수비」 처럼 조닝 자체를 옮겨 유니섹스에서 영캐주얼로 한발 앞서 터닝한 브랜드들 역시 승승장구 하고있으며 「써어스데이아일랜드」 「잭앤질」 「앤듀」 등 유니섹스 캐릭터군의 컨셉 리더 브랜드들은 여성과 남성 라인의 감도 업그레이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지난 수 시즌간 마켓을 뒤흔들던 보이시한 빈티지 스타일이 한발 후퇴할 조짐을 보이며 페미닌 스타일과 메트로섹슈얼을 겨냥 한층 컬러풀해진 아이템들이 전면에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기획방향이 오버랩 되는 베이직 테이스트의 유니섹스 비중을 줄이고 남녀라인을 각각 집중 부각시키고 있는 캐주얼 마켓의 최근 움직임은 전복종에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마케터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캐주얼 그룹 남성 라인의 경우 트래디셔널은 물론 일부 남성 캐릭터 시장의 아이템을 수용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여성 라인 역시 영캐주얼 마켓의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클라이드」는 여성라인 40%로…
이들은 각각 경쟁 시장인 남성 캐릭터와 영캐주얼 못지않은 감도로 상품을 풀어내고 있는 데다 무엇보다 가격대가 훨씬 저렴해 소비자층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일부 캐주얼 브랜드의 경우 최근 그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은 이번 F/W 시즌을 맞이하며 캐주얼 시장에서의 트렌드가 전체 패션시장의 지형도를 바꿔놓고 있다. 전반적인 패션마켓의 침체 속에 유독 이 같은 캐주얼 마켓의 활약상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캐주얼 그룹의 마켓 지배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캐주얼 시장 전체에 걸쳐 여성 및 캐릭터 시장으로의 브랜드 라인 익스텐션이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리얼컴퍼니(대표 김성민 www.ask4.co.kr)의 「애스크」는 이 흐름을 주도했던 대표주자이다. 유니섹스 라인을 줄이고 캐릭터로 승부했던 「애스크」는 영캐주얼로 평가해도 손색없을 정도. 「애스크」는 런칭 초기부터 베이직 스타일의 유니섹스 비중을 20%로 줄이고 여성 50% 남성 30% 비중으로 갖췄다. 유니섹스 스타일도 남녀 핏을 각각 따로 잡기 때문에 크게 보면 남:여 비중이 40:60이다. 패셔너블한 스타일에 가격경쟁력까지 갖추면서 「애스크」는 여성 영캐주얼 소비자를 매장으로 속속 유입시켰다. 이번 F/W시즌에는 패션 트렌드로 떠오른‘러시안 감성’을 제안해 인기몰이를 거듭한다는 전략이다.
연승어패럴(대표 변승형 www.clride.com)도 최근 주력 브랜드인 「클라이드」의 가을겨울 시즌의 브랜딩 전략을 확정했다. 여름시즌을 맞이해 전체 15~20% 안팎의 데님라인 중 프리미엄 라인을 테스트로 처음 전개했던 「클라이드」는 이와 함께 여성 감성캐주얼 라인을 강화한다. 현재 여성과 남성의 성비가 60:40인 「클라이드」는 대리점측 소비자의 경우 남성 소비자들의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에 큰 폭의 성비 조정 없이 가을시즌에 접어들 계획. 그러나 여름시즌 프린트 다이마루와 플레어스커트 베스트 등 전형적인 영캐주얼 아이템들이 효자상품으로 등극함에 따라 이를 매장 전면에 부각시킬 계획이다.
「베이직하우스」는 ‘Puli.Jels’
기존의 베이직&유니섹스 캐주얼 라인을 소폭 축소하고 이번 시즌부터 이들 아이템을 전략상품으로 부각시킬 「클라이드」는 향후 영캐주얼 라인을 전체 20~30%수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올 초 대현계열의 브랜드와 「ab.f.z」등 여성복 디자이너로 활동해온 김지수 실장을 영입하는 등 여성복 부문에 주력할 계획. 특히 이에 맞춘 새로운 VMD매뉴얼 역시 이번 시즌부터 주력 매장을 중심으로 함께 적용시킬 계획이다. 5천만원의 비용을 투자해 지난 8월 리오픈한 현대 목동점을 시작으로 롯데 영플라자와 신세계 등 서울권 매장부터 전국 매장에 적용시킬 예정이다.
더베이직하우스(대표 우종완 www.basichouse.co.kr)도 최근의 트렌드에 맞춰 주력 브랜드인 「베이직하우스」의 브랜드 컨셉을 전면 조정했다. 대대적인 리뉴얼을 추진한 가운데 ‘데님’과 Women’s 라인의 비중을 늘려 트렌디 아이템라인의 비중을 늘려 전개할 계획. 이에 따라 ‘헨드릭스’로 이름 붙인 데님 아이템의 비중을 전체 상품의 20~30%까지 확대해 전개하고 있으며 Women’s 라인은 각각 영층과 영어덜트층을 대상으로 ‘Puli.Jels’ 와 ‘B.Street’로 나누어 데님과 함께 전체 상품의 50%이상으로 구성했다.
특히 이들 신규 라인은 데님의 경우 디테일과 워싱 등 후작업의 퀄리티를 높였으면서도 가격대는 기존과 같이 중가 이하로 유지한 것이 특징. 데님아이템과 여성 비중이 대폭 강화된 지난 8월 들어 노세일 정책을 유지했음에도 판매율이 전년대비 오히려 10%가까이 신장하는 등 리뉴얼에 따른 호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되고 잇다. 한편 브랜드의 라인을 세분화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브랜드 리뉴얼을 추진한 「베이직하우스」는 올해 전년비 5%가 신장한 2천2백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전망이다.
「TBJ」 「뱅뱅」도 여성라인 확대
엠케이트렌드(대표 김상택 www.tbj.net)도 주력 브랜드인 「TBJ」의 가을시즌 이후 컨셉을 헐리우드 스타들의 패션 스타일에서 착안한 로맨틱 이미지로 풀어 제안한다. 개별 아이템으로는 다양한 스타일의 풀스커트와 긴 라인의 슬리브리스, 롤업 팬츠와 다양한 컬러의 홀터넥 셔츠 등 여성스러운 멋을 강조한 아이템들이 전면에 나선 것이 특징이다. 특히 「TBJ」역시 B-Style로 명한 빈티지 스타일을 전면에 내세워 브랜딩 전략을 펼쳤던 것에서 이번시즌부터 여성 아이템의 비중을 50%이상으로 확대해 전개하고 있다.
뱅뱅어패럴(대표 권종열 www.bangbang.co.kr)의 볼륨 캐주얼 「뱅뱅」 역시 유니섹스의 비중을 축소하고 남녀 전용 아이템라인의 비중을 높이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시즌까지 유니섹스의 비중을 60%로 여성라인의 비중을 40%로 전개해왔던 「뱅뱅」은 이번 가을시즌부터 유니섹스 아이템을 점진적으로 배제하고 여성아이템을 전체 60%까지 늘렸다. 에스닉과 로맨틱을 메인 컨셉으로 데님 등 트렌디 아이템에 페미닌한 디테일을 가미해 향후 주력 라인으로 집중 육성할 방침. 특히 올 시즌부터 전면에 부각시킬 여성라인은 메인 모델인 하지원을 활용해 공격적인 프로모션에 나선다.
영 트래디셔널 그룹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에이션패션(대표 염태순 www.polham.co.kr)의 「폴햄」은 시즌 스타일 수인 1백50모델 안팎의 아이템 전량을 여성과 남성으로 뚜렷이 구분했다. 20% 안팎을 데님으로 30%를 시즌 테마를 반영한 트렌디 아이템으로 구성해 전체 물량의 50%를 포인트 상품으로 채웠으며 60%를 여성아이템 라인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다른미래(대표 박상돈 www.noton.co.kr)도 영 트래디셔널 「노튼」의 F/W 컨셉을 실용주의 트래디셔널을 바탕으로 한 로맨틱 페미닌 아이템에 맞춰 이들을 보강하고 전면에 내세워 새로운 프로모션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하반기 10~20대 초반들을 겨냥한 큐트하고 여성스러운 느낌의 아이템들을 대폭 보강했으며 이를 집중 홍보하기 위해 최근 뉴욕의 웨스트빌리지 저택을 배경으로 시즌 광고 비주얼을 촬영하는 등 새로운 캠페인도 함께 전개할 계획이다.
「폴햄」 「니」 「노튼」… 영TD도
세정과미래(대표 박창호 www.nii.co.kr)의 영 트래디셔널 「니」도 최근 조직개편과 큰 폭의 브랜드 리노베이션을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가을시즌 이후 페미닌 스타일을 기본으로 한 여성아이템의 비중을 늘려 전개한다. 기품 있는 트래디셔널을 기초로 시즌 아이템을 믹스해 전개할 방침인 「니」는 가을시즌부터 정통 트래디셔널을 모티브로 한 ‘British(Classic)’와 아메리칸 스타일을 기본으로 한 ‘Movement’로 크게 양분해 시즌을 맞이할 계획이다.
구성비에 있어서는 베이직:뉴베이직:트렌드를 30:55:15로 전개했다. 특히 포인트 트렌디 라인의 경우 각각 여성과 남성 소비자들의 최근 트렌드를 수용하는 쪽으로 기획방향을 결정했으며 브랜드 타깃으로는 15~19세 상품군과 20~28세를 겨낭한 아이템라인으로 나누어 남녀 캐릭터와 전략 타깃층을 뚜렷이 구분하는 방향으로 브랜드를 풀어갈 계획이다.
「리트머스」 「a2p」 「티피코시」등 가두상권을 중심으로 최근 선전하고 있는 유니섹스 볼륨캐주얼 그룹들도 감성캐주얼 라인과 여성 라인의 확대이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어 눈길을 끈다. 리트머스(대표 강점식 www.fashionlitmus.co.kr)의 유니섹스 캐주얼 「리트머스」는 경쟁사에 한 발 앞서 여성 소비자들을 전략적으로 흡수해 톡톡히 수혜를 받은 케이스. 연초부터 여성 아이템군의 상승세를 바탕으로 20~30%대 신장률을 지속하고 있으며 올해 전체 7백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전망이다. 이 같은 상승세는 올 시즌을 맞이해 여성 영캐주얼 아이템을 50에서 60%까지 확대하고 메인 모델인 송혜교를 활용한 대대적인 판촉을 전개하면서 가두상권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리트머스」「a2p」「헨스마일」도 뚜렷
영남상권을 중심으로 한 브랜드 거점 영역을 넘어 최근 롯데 본점과 천안 대전 등 전국상권서 41%대의 기록적인 신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a2p」도 가을시즌부터 트렌치코트 등 시즌 강세 품목을 확대하고 여성비중을 늘려 상승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특히 이 브랜드의 경우 백화점 이외에도 부산 서면과 진주 등 가두상권 전반에서 동반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뚜렷한 상승세의 「a2p」는 F/W시즌이후에는 아웃소싱으로 판촉을 강화하는 등 공격적인 브랜드 프로모션으로 상승세를 이어가 올해 3백5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한편 「아이겐포스트」「옴파로스」등 볼륨캐주얼 그룹 역시 기존의 논에이지와 논컨셉을 표방한 브랜드 전략을 수정해 기획방향을 뚜렷이 구분하는 트렌드에 발을 맞췄다. 이중 「아이겐포스트」의 기획 리뉴얼 핵심은 전체 상품군의 30% 이상을 차지할 트렌디 아이템. 그 동안 ‘핑크팬더’를 활용한 다양한 캐릭터라인 등으로 인기를 끌었던 이 브랜드는 캐릭터 라인의 비중을 확대함과 동시에 의류와 액세서리로 함께 구성되는 수입 완사입 라인을 활용할 계획. 직수입 라인은 이탈리아와 프랑스 및 영국 등 유럽등지의 독특한 아이템들을 현지서 수입해 함께 구성했으나 중국 등지의 소싱라인을 활용해 가격대는 기존의 메인 상품들과 동일하게 책정했다.
최근 1~2년간 뚜렷한 신규가 없는 가운데서도 모처럼 패션 중견기업이 연이어 출시한 「마이티맥」과 「헨스마일」도 이 같은 트렌드를 기획방향에 반영해 시장을 확대일로의 영트래디셔널 시장을 공략한다. 「마이티맥」 경우 19~24 세대를 겨냥한 라이프스타일형 브랜드로써 트래디셔널을 기본 으로 스포티즘을 접목시켰으며 실용적인 스트리트 캐주얼룩을 기본으로 큐트한 이미지의 중가 제품들로 여성 소비자들을 공략할 방침이다.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