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뷰인상하이 ''08년4월22일부터 개최
이광주 객원기자 (nisus@fashionbiz.co.kr)|07.12.11 ∙ 조회수 5,144
Copy Link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경세호)가 프리뷰인상하이 2008 전시회를 내년4월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중국 상하이마트에서 개최한다. 전시규모는 소재, 어패럴업체 150개사 400부스 규모를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참가업체를 위한 실질적인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복종별 대표 브랜드쇼 및 갈라쇼, 초청 바이어 비즈니스 상담회, 수주 패션쇼, 트레이드쇼, 중국 주요 유통 및 의류업체 초청 설명회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회의 차별화 전략으로 기본부스의 비주얼을 강조하여 고급스럽게 디자인하여 전시장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한층 개선시킬 예정이며, 지난 11월 성도 왕푸징 백화점 초청에 이어, 내년에도 중국의 주요 유통채널과 의류업체를 초청, 한국 업체들에게 실질적인 유통 채널 확보의 기회와 소재개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2008년도 이후 중국 시장의 현지화 전략 성공을 위해 ''프리뷰 인 상하이'' 전시회를 규모 및 내용면에서 더욱 더 확대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중국의 주요 유통점(백화점, 총판, 대리상, 대형쇼핑몰 등) 및 주요 성별 복장협회(광동성, 사천성, 강소성, 산동성 등 10개 협회)와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향후 중국의 영향력 있는 주요 매체와의 협력 채널까지 확대하여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섬산련은 한국 패션과 섬유산업의 적극적인 진출을 돕기 위해 지난 5년간 프리뷰인상하이 전시회를 개최한 결과 중국시장에서의 인지도를 확보했으며 상해를 거점으로 중국 전역에 한국브랜드들이 진출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최근 중국의 소재시장은 미주, 유럽 글로벌 브랜드의 직접 소싱이 강화됨에 따라 지난 2005년 상해지역에 약 150여개가 있던 아시아 소싱센터가 현재는 약 2배인 300여곳이 운영중이며 최근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시장 확대로 기획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 최근 중국 패션시장은 지역별로 세분화 되어 서로 상이한 마켓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진출에 앞서 지역별 특징에 따른 사전 준비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섬산련에서는 중국 진출에 관심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중국 유통 시장의 변화와 특징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문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패션전시팀 (Tel : 02-528-4017~22) 노환창 과장.
「프리뷰 인 상하이 2008」현황 자료
Ⅰ. 중국 패션시장의 특징
□ 중국 패션시장 규모
○ 의류 총소비액(‘06년 기준) : 약 85조원
○ 패션수요 인구 : 상류층 6,000만명, 중류층 4.5억명
○ 시장 성장 잠재력 : 패션의류 매출액 년 9%대 지속 증가
□ 패션기업 대다수 중국 시장에 집중
○ 중국인들의 외제 의류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상승
- 최고가 ~ 고가 및 복종별 수입 브랜드 도입 확산
- 유통 및 브랜드에서 직수입 / 라이센스 전개
○ 다양한 해외브랜드들의 진입 및 경쟁심화로 시장선점이 중요
○ 한국 섬유패션 제품의 중국 고급 섬유패션 시장 확보
* 중국내 패션브랜드 선호도(KOTRA ''05조사) : ①프랑스②이태리③한국④미국
캐주얼 및 여성복은 20 ~ 30대에서 1위로 자리매김
* 상해지역은 소비, 생산, 유통에 있어서 중심지로 현지유통 뿐만 아니라 원부자재 조달에도 타지역보다 유리하고 기진출
한국기업이 다수 집중되어 있는 관계로 정보교환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유리
□ 지역별 패션산업과 마켓 세분화
○ 섬유패션산업이 넓은 지역에 분포 (省(성)별로 상이한 마켓 구조)
□ 패션 유통업 세분화 및 차별화
○ 가격대별 백화점 차별화
○ 토탈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전개
○ 연령마켓별, 특수 아이템 취급 전문 백화점 확대
Ⅱ. 홍보 및 바이어 유치
□ 중국현지 홍보 강화
○ 상해 중심에서 주요 권역별(하북성, 광동성 등)로 확대 추진
- 주요 매체(공중파 등)의 후원기관 참여 유도로 홍보 확대
- 전시기간 위주의 단기 홍보가 연중 홍보로 한국 섬유패션의 우수성 홍보
○ 공중파 방송 : 상해TV, CCTV, 광서TV, 북경TV 등
- 뉴스형 특집프로그램(한국 브랜드 이야기 등) 제작 방영
- 참가업체 패션쇼는 패션 및 오락성 프로그램에 소개
○ 매체홍보 : 인민일보, 신민일보, 청년보, 문회보, 중국방직보, 중국복장, 중국복장소식, 보그, 엘러 등
- 유력 섬유/패션관련 전문지에 기획기사 게재와 병행하여 추진
○ 대중홍보 : 지하철/라디오/건물 LED 광고, 인쇄물/현수막 게재
□ 바이어 유치
○ 지역 유통점 (백화점, 수입상, 대리상, 대형 쇼핑몰) 유치
* 백련그룹, 동방백화점, 상해신세계백화점, 중신태부백화점, 팍슨백화점, 항주은태, 영파은태, 온주은태, 항주따샤,
성도 왕푸징백화점, 홍교우의백화점, 이세탄백화점, 대상해시대광장, Raffles광장, 상해바하복식유한회사, 빠오시냐오 등
○ 현지 패션 브랜드 총판 대리점 유치
* 총판 대리점의 경우 8~10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700~1,000개사의 대리점 소유
○ 현지 내수 브랜드 및 의류 프로모션 업체 유치
* 신샹다어패럴, 산웨이아동복, 상해신개념복식, 영파박주복식, 절강대홍복식, 광주백세달무역 카이카이, 산산, 야걸,
치파랑, 화이트컬러, 하이뤄, 홍또우 등
○ 바이어 직접초청 : 유치 대행기관 및 참가업체 추천 바이어
- 대형 의류/봉제 업체 및 유명 브랜드 소싱담당, 백화점, 대리상(총판) 등 중점바이어에 대해서는 별도 관리를 통하여
직접초청
Ⅲ. 개최특징 및 개선사항
□ 전시장 운영
○ 전시부스의 고급화 및 비쥬얼화로 전시장 분위기 개선
○ 참가업체(의류/소재)의 다양화 및 선도기업 참가
* 의류 복종별 및 소재 대표업체 유치(각 복종별 sector로 구분하여 전시)
□ 실질적인 상담 지원 강화
○ 주요 브랜드쇼 및 갈라쇼 개최 지원
- 주요 참가업체 브랜드 단독쇼 및 Gala Show 개최
○ 패션쇼 개최 및 Mini 비즈니스 상담 장소 지원
- 패션쇼 지원 및 쇼장 주위에 별도의 Mini 비즈니스 상담 장소 지원
○ 초청 바이어 비즈니스 상담회 확대 (중국 각 성별 주요 유통업체 중심)
* 의류 복종별(소재) 5회 개최 : 신사복/여성복/캐주얼/아웃도어/소재
○ 바이어 및 참가업체 정보관리 시스템 운영으로 비즈니스 지원
* 365일 바이어 및 참가업체 요구사항과 동향 등 상호 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 구축
(주요 참가업체 정보를 현지 매체 및 바이어에게 전달)
○ 중국 대형 의류(패션)업체 대상으로 전시 참가업체 소재를 활용한 “Trade Show"의 질적 향상 및 확대 개최
□ 수출 상담회 및 세미나 개최
○ 중국 주요 유통점(백화점) 초청 세미나 및 간담회 개최
* 1차 세미나(‘07. 11. 7) : 성도 왕푸징 백화점 장대길 총경리 초청
* 2차 세미나(‘08. 1월중) : 항주 은태 백화점 총경리 및 입점 담당자 초청
○ 중국 각 지역별, 주요 유통점 초청 수출 상담회 및 입점회 개최
* 백련그룹, 예산그룹(북경, 금원, 쇼핑몰), 은태(항주, 영파, 온주), 왕푸징(북경, 성도),
신마터그룹(대련, 정주, 장춘), 탁전그룹(장춘, 심양) 등
Comment
- 기사 댓글 (0)
- 커뮤니티 (0)
댓글 0
로그인 시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